-
장애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을 연도별로 살펴보려고 한다.
▶장애인 복지정책 : 1900년대
1945년 광복 후 정부는 장애인 복지정책으로 국가 재활위원회를 설립하여 참전용사 및 장애인에게 의료 및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1954년 정부는 장애인에게 직업 재활, 재정 지원, 세금 면제 등 다양한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복지법을 통과시켰다.
1960년대 초 장애인 복지를 위해서 정부는 국민연금과 국민건강보험제도를 통해 장애인에게 재정적 지원을 시작했다.
1974년 정부는 장애인 복지정책으로 장애인에게 의료 및 직업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립장애인재활원을 설립했다.
1980년 정부는 장애인복지시설법을 도입해 장애인을 위한 학교, 재활원, 요양원 등의 시설 설치를 의무화했다.
1981년 정부는 장애인 복지를 위해서 장애인복지법을 통과시켜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혜택의 범위를 확대했다. 장애인복지법은 장애인이 사회에 참여하고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90년대 정부는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와 장애인 지원으로 초점을 전환하기 시작했다.
1994년 장애인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장애인을 포함한 저소득 개인 및 가족에게 재정 지원 및 사회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기초생활보장 제도를 시작했다.
1995년 정부는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장애인종합대책을 도입하였다. 이 계획에는 지역사회 기반 재활 서비스, 고용 지원 및 접근할 수 있는 공공시설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었다.
▶장애인 복지정책 : 2000년대
2004년 정부는 장애인 복지를 위해서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제공 및 지원을 위한 법적 틀을 마련한 장애인 지원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에는 장애인을 위한 교육, 고용, 건강 및 사회 복지 서비스와 차별에 대한 보호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장애인 지원법은 장애인만이 아니라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개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8년 정부는 재난 및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조항을 포함하는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을 통과시켰다.
2014년 정부는 사회의 모든 측면에서 장애인의 권리와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전략과 정책을 제시하는 장애인 종합 계획을 시작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정책의 발전은 정부가 사회복지를 개선하고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014년 이후 한국의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에 몇 가지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2015년 장애인 복지를 위해서 정부는 장애가 있는 개인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제공하고 적절한 서비스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장애 평가 및 지원 시스템을 시작했다. 또한 장애인 고용촉진법을 시행해 기업의 장애인 고용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공공기관에 장애인 고용 할당량을 채우도록 했다.
2016년 정부는 장애인의 권리 보호와 복지 증진,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 금지를 목적으로 하는 장애인 차별 철폐법을 통과시켰다.
2017년 장애인 복지정책으로 정부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보다 포괄적이고 접근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행복한 커뮤니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대중교통 개선, 접근할 수 있는 공공시설 제공, 장애인 고용 기회 촉진과 같은 다양한 이니셔티브가 포함된다.
2018년 정부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의료, 직업훈련, 사회복지 등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국가 재활 지원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장애인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과 혁신을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스마트 재활 2.0’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가상현실 기반 재활 프로그램 및 원격 재활 서비스와 같은 이니셔티브가 포함된다.
2019년 장애인 복지정책 정부에서는 장애인의 고용 기회를 촉진하고 근로 조건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장애인 고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정책과 이니셔티브는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와 지원을 개선하고 보다 포용적이고 접근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준다. 2020년 이후 한국의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에 몇 가지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여 정부는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예를 들어, 정부는 장애 관련 조직이 팬데믹 동안에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장애인이 의료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치도 도입했다.
2020년 장애인 복지를 위해서 정부는 장애인의 삶의 질과 복지 향상을 목표로 접근할 수 있는 교통수단 제공, 사회참여 촉진, 고용기회 확대 등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행복한 장애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21년 정부는 차별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고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개인의 평등을 증진하기 위한 차별 방지 및 대응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 또한 정부는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와 지원을 개선하기 위해 기술과 혁신에 지속해서 투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정부는 보조 기술을 개발하고 공공장소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발전은 COVID-19 대유행과 같은 도전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를 증진하고 장애인을 지원하며 보다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한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제도는 여전히 과제를 안고 있다. 많은 장애인이 여전히 교육, 고용 및 서비스 이용에 대한 장벽에 직면하고 있으며 장애인을 지원하고 돌볼 수 있는 전문 시설과 훈련된 전문가가 부족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 정책 및 프로그램에 지속해서 투자하고 모두를 위한 더 큰 포용과 접근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편집자 쏭이의 관련 글 보기 >
노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노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을 연도별로 살펴보자면, 그 시작점은 1960년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 1960~1970년대 1960년대 노인 복지정책은 한국전쟁 이후 경제와 기반 시설
fruit9.tistory.com
청소년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청소년 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은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이루던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부는 국가의 미래 성공의 열쇠로 여겨지는 청소년을 지원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했습니다. 이
fruit9.tistory.com
한부모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한부모 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을 연도별로 알아보고, 더불어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한부모 복지정책 : 1986년 한부모가족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한부모가족지원법
fruit9.tistory.com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0) 2023.04.06 노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0) 2023.04.05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⑤ 자기결정이론 (0) 2023.04.04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④ 인지행동이론 (0) 2023.04.03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③ 사회정체성이론 (0) 202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