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 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은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이루던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부는 국가의 미래 성공의 열쇠로 여겨지는 청소년을 지원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했습니다. 이후 청소년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이러한 청소년 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 복지정책 : 1960년대
청소년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1960년에 전국 청소년협의회 설립했고, 1962년에는 청소년보호법 통과 등 청소년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시행했다.
▶청소년 복지정책 : 1970년대
청소년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교육과 고용에 특히 중점을 두고 계속해서 청소년 복지정책을 우선시했다. 1973년 정부는 청소년 및 청년의 취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청년고용촉진법을 통과시켰다. 정부는 또한 1979년에 국립 청소년개발원을 설립하여 청소년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들의 필요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청소년 복지정책 : 1980년대
청소년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청소년의 여가와 문화로 초점을 옮겼다. 1984년 정부는 청소년에게 문화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청소년문화센터를 설립하였다. 또한 정부는 1986년 청소년 여가활동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여를 촉진하였다.
▶청소년 복지정책 : 1990년대
청소년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빈곤, 교육, 정신 건강 등 청소년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시행했다. 1991년 정부는 청소년의 교육, 취업, 건강, 여가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의 청소년복지 지원법을 통과시켰다. 정부는 1998년에 청소년 비상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위기청소년에 대한 긴급 복지지원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청소년 복지정책 : 2000년대
청소년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청소년 및 청년의 교육 및 고용 기회 확대에 중점을 두었다. 2001년 정부는 청년창업에 대한 재정적, 기술적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청년 창업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통과시켰다. 또한 2005년에는 저소득층 청년이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청년 희망기금을 출범시켰다.
▶청소년 복지정책 : 2010년대
청소년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청소년 및 청년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특히 중점을 두고 청년복지 지원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갔다. 정부는 2012년에 청소년 정책조정협의회를 설립하여 여러 부처의 청소년 정책을 개발하고 조정했다. 그리고 2015년에는 청년들이 꿈과 목표를 추구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청년 드림 펀드를 출범시켰다.
▶청소년 복지정책 : 2020년대
청소년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일과 고용의 성격 변화와 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이니셔티브를 시행했다.
① 원격 학습 지원
팬데믹에 대응하여 정부는 저소득 청소년 가정에 디지털 기기 및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고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확장하는 등 원격 학습을 지원했다.
② 청년 고용 지원
정부는 청년을 고용하는 기업에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청년 고용 보조금 프로그램과 같은 청년 고용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시행했다.
③ 정신 건강 지원
전염병은 청소년을 위한 정신 건강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했다. 정부는 청소년 정신 건강 지원 센터를 포함하여 청소년에게 상담 및 기타 정신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프로그램을 수립했다.
④ 사회적 통합
정부는 또한 특히 소외된 배경을 가진 청소년 및 청년을 위한 사회적 통합을 우선시했다. 또한 2021년에는 정부는 장애 청소년, 다문화 배경, 기타 소외 계층을 지원하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청소년 포용 지원 센터를 출범시켰다.
⑤ 지속 가능한 개발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세계적 관심에 발맞춰 한국 정부는 청소년 및 청년 사이에서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장려하기 위한 여러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예를 들어, 2021년 정부는 녹색 분야의 젊은 기업가들에게 자금과 지원을 제공하는 청년 녹색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전반적으로 한국 정부는 청소년 복지정책을 계속 우선시하고 있으며 2020년대에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청년들의 변화하는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청소년 복지정책의 발전은 수십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전해 왔다. 정부의 초점은 사회 경제적 환경의 변화와 청소년 및 청년의 변화하는 요구를 반영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었다. 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한국의 모든 청소년 및 청년이 성공하는 데 필요한 지원과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편집자 쏭이의 관련 글 보기 >
장애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장애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을 연도별로 살펴보려고 한다. ▶장애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 1900년대 1945년 광복 후 정부는 장애인 복지정책으로 국가 재활위원회를 설립하여 참전용사 및 장애
fruit9.tistory.com
노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노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을 연도별로 살펴보자면, 그 시작점은 1960년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 1960~1970년대 1960년대 노인 복지정책은 한국전쟁 이후 경제와 기반 시설
fruit9.tistory.com
한부모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한부모 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을 연도별로 알아보고, 더불어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한부모 복지정책 : 1986년 한부모가족 복지정책으로 정부는 한부모가족지원법
fruit9.tistory.com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 취업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서비스 (0) 2023.04.07 한부모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0) 2023.04.06 노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0) 2023.04.05 장애인 복지정책의 발전과정 (연도별) (0) 2023.04.04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⑤ 자기결정이론 (0) 2023.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