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세 번째, 사회정체성이론입니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사람들에게 소속감을 주고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정체성 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은 지역사회에서 자기 가치를 인정받고 지지받고 있다고 느낄 때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되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사회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심리학 이론에는 사회정체성이론이 있다.
▶사회정체성이론
사회정체성이론(Social Identity Theory, SIT)은 1970년대 영국의 사회 심리학자 Henri Tajfel이 개발했다. 사회정체성이론은 사람들의 정체성과 자아 개념이 그들이 속한 집단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이다. 사회정체성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사회적 정체성에서 자존감과 소속감을 얻고,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의 그룹을 선호하고 다른 그룹의 구성원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긍정적인 사회적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이러한 자신의 집단을 선호하는 경향을 사회적 범주화라고 하며, 이는 종종 고정관념과 편견의 형성으로 이어진다. 또한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의 강도가 그룹 멤버십의 중요성, 유사성, 합법성 및 지위를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고 본다. 개인이 집단과 강하게 동일시되면 집단에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집단의 규범과 가치를 채택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사회정체성이론은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이 자신과 타인에 대한 행동, 태도 및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그것은 편견, 차별, 사회적 갈등의 역학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심리학, 조직행동, 집단 간 관계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사회정체성이론의 사회 심리학자 Henri Tajfel
사회 심리학자 Tajfel는 1919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성장했으며, 철학을 공부한 후 심리학 경력을 쌓기 위해 영국으로 이주해서 박사 학위를 마쳤다. 런던, 브리스톨, 옥스퍼드, 서섹스를 포함한 여러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Tajfel는 사람들의 정체성은 그들이 속한 사회 집단의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정체성이 그들의 행동, 태도 및 타인과의 관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믿었다. Tajfel는 특정 그림에 대한 선호도와 같은 사소한 기준에 따라 참가자를 다른 그룹에 무작위로 할당하는 등 사회정체성이론의 예측을 테스트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수행했다. 그룹의 임의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은 다른 그룹의 구성원보다 자신의 그룹 구성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이를 통해 행동을 형성하는 사회적 정체성을 보여주었다. 사회 심리학에 대한 Tajfel의 공헌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1978년 대영제국훈장을 비롯한 수많은 상을 받았다.
▶사회정체성이론과 관련된 한국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사회정체성이론과 관련된 한국의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명시적으로 개발되거나 운영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이론의 사회 범주화 및 집단 정체성의 원리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을 이해하는 데 관련이 있다.
한 가지 예는 저소득 가정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여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인 기초생활보장제도이다. 이 프로그램은 소득 수준, 가족 규모, 장애 상태를 포함한 일련의 기준에 따라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계되었다. 기초생활보장제도는 빈곤과 배제에 가장 취약한 사람을 결정하는 데 있어 집단 정체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기준에 따라 지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다른 예는 모든 한국 시민과 합법적 거주자에게 보편적인 보장을 제공하는 국민건강보험이다. 이 제도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기본적인 인권임을 인식하고 사회적 또는 경제적 지위와 관계없이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 수준의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의료 서비스에 대한 부적절한 접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정체성 위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편집자 쏭이의 관련 글 보기 >
☞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①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①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첫 번째,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입니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음식, 쉼터, 건강관리 같은 인간의
fruit9.tistory.com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② 애착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두 번째, 애착이론입니다. ▶애착이론 애착이론은 건강한 발달과 웰빙을 위해 개인 간, 특히 영유
fruit9.tistory.com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④ 인지행동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네 번째, 인지행동이론입니다. ▶인지행동이론 인지행동이론(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CBT)은 행동심
fruit9.tistory.com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⑤ 자기결정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다섯 번째, 자기결정이론입니다. ▶자기결정이론의 개념 자기결정이론은 개인이 특정 행동이나
fruit9.tistory.com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⑤ 자기결정이론 (0) 2023.04.04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④ 인지행동이론 (0) 2023.04.03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② 애착이론 (2) 2023.04.02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①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 (0) 2023.04.01 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세기별) (2)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