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두 번째, 애착이론입니다.
▶애착이론
애착이론은 건강한 발달과 웰빙을 위해 개인 간, 특히 영유아와 주 양육자 간의 긴밀하고 안전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심리학적 틀이다. 이 이론은 1950년대에 영국의 심리학자 존 볼비(John Bowlby)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이후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애착이론에 따르면 영유아는 주 양육자와의 경험을 바탕으로 관계의 내적 작업 모델을 개발한다. 보호자가 반응을 보이고 안전감과 안정감을 제공한다면 아동은 안정 애착 스타일을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더 나은 정서적 규제, 사회적 능력 및 자존감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 가져온다. 반면에 보호자가 일관성이 없거나 반응이 없으면 아동은 불안정한 애착 스타일을 발달시켜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다른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애착이론은 아동 발달, 양육, 전 생애에 걸친 관계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애착 관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인을 위한 치료적 접근 방식을 알려준다.
▶애착이론의 존 볼비(John Bowlby)
존 볼비(John Bowlby)는 애착이론을 최초로 제안한 영국의 심리학자이며 정신 분석가다. 존 볼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부모와 헤어진 아이들을 연구했다. 존 볼비는 주 양육자와의 분리를 경험한 아동이 종종 정서적 고통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관찰하면서 애착이론을 발전시켰다.
존 볼비는 인간이 애착에 대한 선천적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어린 시절에 양육자와의 안전한 애착이 건강한 사회 및 정서적 발달에 중요하다고 가정했다. 그는 유아가 울고, 달라붙고, 근접성을 추구하는 것과 같은 일련의 행동 및 정서적 반응을 가지고 태어나며, 이는 성인으로부터 돌봄을 유도하도록 고안되었다고 믿었다. 또한 이러한 애착 행동이 양육자의 따뜻함과 반응으로 지속적으로 충족되면 안전한 애착 유대가 형성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이 무시되거나 일관성 없는 반응을 보이면 아동은 불안정한 애착 스타일을 갖게 된다고 보았다.
애착이론에 대한 존 볼비의 연구는 아동 발달, 육아 및 정신 건강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존 볼비의 아이디어는 애착 관련 어려움이 있는 개인을 위한 애착 기반 개입을 포함하여 다양한 치료적 접근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Mary Ainsworth 및 Mary Main과 같은 다른 심리학자들은 경험적 연구와 안전, 불안-양가적, 회피적 애착 스타일과 같은 애착 분류 생성을 통해 존 볼비의 이론을 더욱 발전시켜 나갔다..
▶애착이론에 바탕을 둔 사회복지 프로그램
애착이론에 바탕을 둔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아동과 가족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유아교육 및 보육(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프로그램
유아교육 및 보육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보호자-자녀, 또는 교사-아동 간의 상호 작용을 촉진하고 아동이 보호자 또는 교사와 안정적인 애착을 개발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애착 기반 접근 방식을 통합한다. 유아교육 및 보육 프로그램은 유치원, 보육원 등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는데, 아동의 사회 및 정서적 발달 촉진에 중점을 두고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 가정방문 프로그램
가정방문 프로그램은 사회복지 기관 등을 통해서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 방문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정방문 프로그램은 부모와 자녀 간의 안전한 애착 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긍정적인 양육 관행을 촉진하도록 도울 수 있다. 가정 방문자는 안전한 애착 촉진 및 긍정적인 징계와 같은 주제에 대해 부모에게 지침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3) 아동보호 서비스
아동보호 서비스는 학대, 방치 또는 기타 형태의 학대를 경험한 아동에게 안전하고 양육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서는 아동복지센터 및 위탁보호 프로그램과 같은 다수의 아동보호 서비스를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4) 정신건강 서비스
정신건강 서비스는 부모와 협력하여 아동의 건강한 애착 및 정서적 규제를 촉진한다. 또한 근본적인 트라우마 또는 애착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뿐만 아니라 가족이 긍정적인 대처 전략을 개발하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정신건강 서비스는 클리닉, 병원 등의 기관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데, 국내에서는 심리치료 및 상담을 포함한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금까지 애착이론을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몇 가지 예를 살펴보았다. 종합해 보자면, 애착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아동과 양육자 사이의 건강한 애착 관계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긍정적인 발달 결과와 전반적인 웰빙을 촉진하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재도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계속 개발되고 있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를 따라잡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좀 더 다양한 수요에 맞춘 창의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 편집자 쏭이의 관련 글 보기 >
☞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①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①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첫 번째,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입니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음식, 쉼터, 건강관리 같은 인간의
fruit9.tistory.com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③ 사회정체성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세 번째, 사회정체성이론입니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사람들에게 소속감을 주고 지역사회와의
fruit9.tistory.com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④ 인지행동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네 번째, 인지행동이론입니다. ▶인지행동이론 인지행동이론(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CBT)은 행동심
fruit9.tistory.com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⑤ 자기결정이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를 총 다섯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다섯 번째, 자기결정이론입니다. ▶자기결정이론의 개념 자기결정이론은 개인이 특정 행동이나
fruit9.tistory.com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④ 인지행동이론 (0) 2023.04.03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③ 사회정체성이론 (0) 2023.04.03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 ①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 (0) 2023.04.01 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세기별) (2) 2023.03.31 미국 사회복지의 역사 (세기별) (0) 2023.03.30